1. 기초연금 수급자격 요건
가. 기초연금 수급 기본 요건
① 단계: 국적 & 나이 & 소득 기본 요건
대한민국 국적자 및 국내 거주 & 만 65세 이상 & 소득하위 70% 이내 |
▼
② 단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에 부합
● 부동산, 현금, 월급 등 모든 소득과 재산을 반영한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이면 기초연금 수급 가능
단독가구 기준 | 부부가구 기준 |
소득인정액 213만 원 이하 | 소득인정액 340.8만 원 이하 |
▼
③ 단계: 기초연금액 수급 가능 금액(최대)
● 2024년 최대 기초연금 지급액
단독가구 기준 | 부부가구 기준 |
340,810원 | 535,680원 |
④ 최종: 기초연금 감액 후 최종 금액 수급
● 기초연금 국민연금 연계 감액: 노령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 지급액의 150% 초과 시 기초연금 최대 50%까지 감액
● 기초연금 부부감액: 부부 모두 수령 시 각각 20%씩 감액
● 소득역전 방지감액: 신청자의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출값 + 기초연금액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보다 크면 초과한 금액만큼 기초연금 감액
☞ 기초연금을 감액 없이 100%(단독가구 334,810원, 부부가구 535,680원): 신청자의 소득인정액이 단독가구 1,795190원, 부부가구 2,872,320원 이하여야 합니다.
2. 기초연금 수급 가능 현금과 이자소득 범위 분석
가. 금융재산 현금만 있는 경우 → 소득인정액 계산
■ 금융재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식: (현금 합계 - 2천만 원 공제) × 4% ÷ 12개월
현금 계 | 소득인정액 | 현금 계 | 소득인정액 |
5천만원 | 100,000원 | 1억 원 | 266,667원 |
1억 5천만 원 | 433,333원 | 2억 원 | 600,000원 |
2억 5천만 원 | 766,667원 | 3억 원 | 933,333원 |
3억 5천만 원 | 1,100,000원 | 4억 원 | 1,266,667원 |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단독, 부부가구) equal 현금 재산은? |
|||
6억 5천 9백만 원 | 2,130,000원 | 10억 4천 2백만 원 | 3,408,000원 |
나. 금융재산 이자소득만 있는 경우 → 소득인정액 계산
■ 월 이자소득 산정식: [이자액 - (4만 원 × 예적금개월 수)] ÷ 12개월
■ 1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소득의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
예ㆍ적금금액 | 이자율 3% 적용 시 소득인정액 산출값 |
이자율 4% 적용 시 소득인정액 산출값 |
2천만 원 | 10,000 원 | 26,667 원 |
4천만 원 | 60,000 원 | 93,333 원 |
6천만 원 | 110,000 원 | 160,000 원 |
8천만 원 | 160,000 원 | 226,667 원 |
1억 원 | 210,000 원 | 293,333 원 |
1억 5천만 원 | 335,000 원 | 460,000 원 |
3억 원 | 710,000 원 | 960,000 원 |
5억 원 | 1,210,000 원 | 1,626,667 원 |
10억 원 | 2,960,000 원 | 3,960,000 원 |
■ 이자소득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반영시기
● 이자를 받는 연도 다음 해 4월에 반영 → 즉, 2023년도 이자소득은 2024년 4월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당해연도만 반영
■ 2년 만기일 경우 위 표의 산출값의 약 2배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노후에 5억 원의 예적금을 은행에 예치한 후 발생 한 이자소득(3% 가정 시, 2,420,000원의 소득인정액 산출)만으로도 기초연금에 탈락하실 수가 있다는 점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 따라서 현금과 이자소득을 둘 다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각각 계산 후 합산해서 소득인정액을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 금융재산 소득인정액 산정항목 범위
■ 현금
■ 요구불 예금(보통예금, 저축예금, 자유 저축예금)
■ 저축성 예금(정기예금, 정기적금, 정기저축)
■ 보험증권(해지지 환급금 기준)
■ 연금보험, 연금저축
■ 주식, 수익증권, 출자금, 출자지분
■ 수표, 어음, 채권, 채무증서, 신주인수권부 증서 등
기초연금 개혁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회 공론회 위원회에서 두 가지 안으로 확정 제안을 했고요. 조만간 이에 대한 후속논의가 이뤄질 예정이지만,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는 어쨌든 간에 열릴 것 같습니다.
소중한 노후를 기초연금 수급자가 되셔서 조금이나마 복지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일하다 아프면 받는 상병수당, 7월부터 확대시행(feat, 150일간) (0) | 2024.04.22 |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추납자 감소, 조기노령연금 신청자 급증사유 (1) | 2024.04.16 |
[국민연금공단] 매년 4월 기초연금 탈락 또는 감액되는 이유 (0) | 2024.04.02 |
[경기도] 경기도 1인가구 병원안심동행 서비스(a~z) (0) | 2024.03.30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금융권 대출 소상공인 이자 지원사업 시행 (1)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