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부모급여 언제까지3

[보건복지부] 2024년 바뀌는 저출산대책 및 65세 어르신 혜택 내역 1. 2024년 달라지는 65세 이상 혜택 현황 가. 부모급여 인상 ■ 만 0세 혜택 ● 기존: 70만 원 / 월 ● 변경: 100만 원 / 월 ■ 만 1세 혜택 ● 기존: 35만 원 / 월 ● 변경: 50만 원 / 월 ☞ 어린이집에 보낼 경우에는 어린이집 보육료를 제외한 차액 지급 ■ 부모급여 신청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정부 24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 나. 혼인 및 출산 증여재산 비과세 확대 ■ 부모 → 자녀 증여시 10년간 5천만 원 비과세 이던 것을 추가로 ■ 결혼을 하거나 출산을 자녀에게 최대 1억 원 비과세 확대 ☞ 자녀 증여 비과세 기준: 혼인신고일로 전후로 각각 2년 → 총 4년간 인정 ■ 따라서, 10년간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비과세로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음 ☞ .. 2024. 1. 17.
[보건복지부] 2024년 노인 일자리 증가 & 부모급여 100만원 & 첫만남이용권 300만원 상향 1. 2024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 국무회의 의결 가. 2024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통과: 9.29일 나. 2024년 보건복지부 예산 핵심분야 ■ 첫째, 약자복지를 강화. ■ 둘째, 저출산 대책, 체감할 수 있게 지원. ■ 셋째, 어디에 살아도 필수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체계. ■ 넷째,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 위 핵심 4가지 방향 중 약자복지 내용 중 노인공공일자리 사업과 저출산대책 중 하나인 부모급여 인상내용과 첫 만남 이용권 인상 내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2. 2024년 약자복지 예산 증가내용 가. 기초생활 수급자 생계급여 ■ 생계급여란: 생활이 어려운 생계급여 대상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급여를 지급하여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 2023. 8. 30.
[보건복지부] 부모급여제도의 모든 것 (a~z) 1. 부모급여제도 가. 부모급여란? ■ 집중 돌봄이 필요한 0~1세 아이와 가족이 걱정 없이, 부담 없이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나. 지급대상: 만 0세 ~ 1세(`22.1월생부터 해당) 다. 지원 내용 ■ 지원금액: 만 0세 아동 월 70만 원 / 만 1세 아동 월 35만 원 ■ 지원방식: 현금(신청 계좌로 입금) 다만,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보육료 바우처로 수급,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정부지원 이용할 경우 종일제 아이 돌봄 정부지원으로 수급 ☞ 부모급여 지원금액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금액보다 클 경우 현금 차액 지급 ■ 신청가능시기: `23.1월 4일 이후 언제나 신청 가능 ☞ 출생일을 포함하여 60일 이내에 신청 ■ 지급시기: `23.1.25일 이후 매월 25일 지급 라. 신청 방법 ■.. 2023. 8. 1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