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국민연금 수령나이5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추납자 감소, 조기노령연금 신청자 급증사유 1. 국민연금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에 미치는 영향 가.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요건 소득요건 재산 요건 ○ 년 합산소득 2천만 원 이하 ○ 재산과표 9억 원 이하 ○ 사업자 등록사: 사업소득 0원 ○ 사업자 미등록 시: 연 소득 5백만 원 이하 ○ 재산과표 5.4억 ~ 9억 원 이하이고 연 합산소득 1천만 원 이하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재산과표 기준: 공시지가 × 공정시장가액비율(60%) ■ 한마디로 말해서 피부양자 소득요건은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기타 소득의 합이 연간 2천만 원(월 167만 원) 초과하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탈락된다는 것입니다. 부부 중 배우자 한 사람이라도 소득요건으로 피부양자 자격 탈락시 배우자도 동반탈락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국민연.. 2024. 4. 16. [국민연금공단]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국민연금개혁안 확정 1. 국회 연금개혁안(확정) 가.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연금개혁 ■ 34명으로 구성된 연금개혁 의제 숙의단이 2박 3일 합숙토론을 거쳐 확정했습니다. ■ 이르면 다음 달(4월) 중 500명의 시민대표단이 투표로 둘 중 하나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가. 연금개혁 확정내용(연금개혁위원회) ① 연금개혁 1안: 소득안정효과 기대 ● 소득대체율: 40% → 50% 인상 ● 연금 보험요율: 9% → 순차적으로 13%로 인상 ★ 예를 들어 월 350만 원 급여봉급자는 연금보험료 9% 중 4.5%만 회사가 4.5%는 개인이 부담하고 있는데요. 현행 9%에서 13%로 인상되게 되면은 보험료 인상액이 얼마나 될까요? 구분 변경 전 (본인부담 4.5%) 변경 후 (본인부담 6.5%) 본인부담 증가액 350만 원 월 급여 .. 2024. 3. 12.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vs. 건강보험료 vs. 기초연금 상관관계분석 1. 국민연금에 대한 핵심 이수 사항 가. 이슈 사항 ① : 국민연금 임의가입 & 임의계속가입 여부 ■ 임의가입자 대상: 18세 이상 학생이거나 군인,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가 대표적인 임의가입대상자임. ■ 가입여부는 강제가 아니며 자발적인 판단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 tip) 국민연금 수령액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국민연금 가입기간입니다. 금액보다 수령액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18세에 임의가입 후 한 달 치만 보험료를 납부하고 중지를 한다면 나중에 취업 후 국민연금 추납을 10년(119개월)이 가능하게 된다는 사실이며, 소득대체율 40년 기간에 근접하게 되어 제대로 된 연금액을 수령하실 수가 있는 것입니다. ■ tip) 부부가 연금을 동시 수령 시, 배우자가 사망했을 경우.. 2023. 9. 21. [국민연금공단] 은퇴자, 퇴직자 노령연금 수령 예상액은? 1. 국민연금 가. 국민연금 가입대상 ■ 의무가입대상: 만 18세 ~ 60세 ☞ 만 60세 이전 퇴직 시 임의가입자 신고 후 납부 하여야 함. ■ 임의가입금액은 최소 90,000원 ~ 최대 531,000원. ☞ 본인이 신고하는 금액의 9% 적용 ■ 임의계속 가입: 의무납입 나이가 60세까지이나 노령연금을 더 수령하기 위해서 60세 이후에 노령연금 수령 전까지 납입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 만 60세 이전에 퇴직한 경우에 배우자가 공적연금을 납입 중이거나 수령 중인 경우에는 국민연금 의무가입대상에서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점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나. 퇴직 후 소득이 없는 경우 국민연금 납부방식 ■ 은퇴나 퇴직을 한 후 소득이 없는 기간에는 납부예외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이때는 가입기간이 제외되어 .. 2023. 9. 6. 이전 1 2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