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회 연금개혁안(확정)
가.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연금개혁
■ 34명으로 구성된 연금개혁 의제 숙의단이 2박 3일 합숙토론을 거쳐 확정했습니다.
■ 이르면 다음 달(4월) 중 500명의 시민대표단이 투표로 둘 중 하나를 결정한다고 합니다.
가. 연금개혁 확정내용(연금개혁위원회)
① 연금개혁 1안: 소득안정효과 기대
● 소득대체율: 40% → 50% 인상
● 연금 보험요율: 9% → 순차적으로 13%로 인상
★ 예를 들어 월 350만 원 급여봉급자는 연금보험료 9% 중 4.5%만 회사가 4.5%는 개인이 부담하고 있는데요. 현행 9%에서 13%로 인상되게 되면은 보험료 인상액이 얼마나 될까요?
구분 | 변경 전 (본인부담 4.5%) |
변경 후 (본인부담 6.5%) |
본인부담 증가액 |
350만 원 월 급여 기준 | 157,500원 | 227,500원 | 70,000원 |
★ 직장인이 아닌 연금부담료를 100% 부담하는 사업자라면 그 금액은 직장인 본인부담금의 두 배가 되니 부담이 크지 않을 수가 없겠습니다.
● 국민연금 납부연령: 만 59세 → 만 64세까지 연장
▼
● 연금고갈시기: 2055년 → 연금 소진 기간 7년 연장 효과
② 연금개혁 2안: 재정안정효과 기대
● 소득대체율: 40% → 40% 유지
● 연금 보험요율: 9% → 순차적으로 12%로 인상
☞ 국민연금 보험요율은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인상
★ 예를 들어 월 350만 원 급여봉급자는 연금보험료 9% 중 4.5%만 회사가 4.5%는 개인이 부담하고 있는데요. 현행 9%에서 12%로 인상되게 되면은 보험료 인상액이 얼마나 될까요?
구분 | 변경 전 (본인부담 4.5%) |
변경 후 (본인부담 6.0%) |
본인부담 증가액 |
350만 원 월 급여 기준 | 157,500원 | 210,000원 | 52,500원 |
● 국민연금 납부연령: 만 59세 → 만 64세까지 연장
▼
● 연금고갈시기: 2055년 → 연금 소진 기간 8년 연장 효과
연금개혁 확정안이 나왔습니다. 앞으로 공론화 과정 등 여러 절차를 거쳐야 최종 확정될 계획이지만, 노후 생활에 중요한 축인 연금 개혁방안에 대해서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최대 30만원 지원대상 전 연령으로 확대 (2) | 2024.03.21 |
---|---|
[화성시] 초등학교 입학 축하금 20만원 지급(a~z) (0) | 2024.03.18 |
정부 복지혜택 알려주는 서비스 → 혜택 알리미 서비스 시행 (0) | 2024.03.11 |
경로우대 지하철 무료교통카드 신청방법(feat, 인천시) (0) | 2024.03.05 |
경로우대 지하철 무료교통카드 신청방법(feat, 경기도)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