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전, 알아두면 좋은 내용

[국민연금공단] 2024년 달라지는 각종 연금제도(a~z)

by cypressjin 2023. 12. 20.
SMALL

1. 2024년 바뀌는 각종 연금제도 종합

 

   가. 기초연금 제도 변화

 

      ■ 2024년 기초연금액 인상

         - 2023년 9월 국무회의 의결사항 기준

 

구분 2024년 기초연금액(예상)
단독가구 334,000원
부부가구 534,000원

 

 

기초연금액은 물가인상률만큼 인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3년 9월 국무회의 의결에서 2024년 기초연금액이 단독가구 334,000원, 부부가구 534,000원으로 의결되었지만 연말까지의 물가인상률 변화가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최종 2024년 기초연금액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초연금 40만 원시대 도래는 매년 물가인상률만큼 반영하였을 때 2027년쯤이면 기초연금 40만 원 시대가 열릴 것으로 여겨지네요.

 

 

      ■ 2024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인상

 

         ● 기초연금 수급자격은 대한민국 국적자(복수국적 가능) & 국내 거주 & 만 65세 이상 & 소득하위 70% 이내이신 분입니다.

 

         ● 위 조건에 해당되시는 분들 중에 기초연금 선정기준액(2023년 기준 단독가구 202만 원, 부부가구 323.2만 원) 이하였을 때 기초연금 수급자에 선정되셔서 기초연금을 최소 10% ~ 최대 100%까지 수령하실 수가 있는데요.

 

         ● 이러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최근 3개년 평균 10% 인상되는 추세였던 점을 반영하면, 2024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단독가구 222만 원, 부부가구 355만 원 내외가 될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이 인상되면 그만큼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에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요. 기초연금을 감액(소득역전방지) 되었던 분들도 기초연금액이 늘어나는 효과 가 있는 중요한 선정기준 내용입니다.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매년 1월 초에 보건복지부에 발표함. 주의 깊게 살펴보셔야 할 사항입니다.

 

 

 

 

   나. 국민연금(노령연금) 제도 변화

 

      ■ 2024년 국민연금 인상률: 2023년 최종 물가인상률 반영 예정

 

      ☞ 약 3.8% 물가인상률 반영 추정 → 2023년 최종소비자물가상승률 확정 후 발표 예정

 

      ■ 기존 장애연금 수령 요건인 1~2등급뿐만 아니라 3등급까지도 장애연금 수급가능으로 변경

 

 

   다. 퇴직연금 제도 변화

 

      ■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본격 시행(23.7월부터 제도 시행)

 

      ■ 퇴직연금 계좌 간 현물 이전 제도 시행 예정

 

        ● 현재는 동일회사 퇴직연금계좌 간에만 현물이전이 가능하였으나,

 

        ● 2024년부터는 타 금융기관 간에도 현물이전 시 운용자산의 매도ㆍ매수 없이 이전절차가 가능하도록 변경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최종 시행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라. 개인연금 제도 변화

 

      ■ 연금소득세 분리한도 금액 인상: 1,200만 원 → 1,500만 원 인상(여야 합의)

 

        ● 소득세 공제받은 금액과 운용수익 수령 시 저율과세(5.5%~3.3%) 한도를 상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 주택연금 제도 변화

 

      ■ 주택연금 신청 공시가격 한도 상향: 기존 9억 원 → 변경 후 12억 원

    

      ☞ 다 주택자라도 공시가격 합산으로 판단

 

      ■ 그러나, 주택연금 신청 자격요건이 공시가격 12억 원까지 늘어났다 하더라도 주택연금 대출한도는 6억 원까지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주택연금 가입 시 초기보증료(1.5%)를 가입 후 3년 이내 해지 시 기간에 따라 일부 반환으로 변경 적용

 

 

   마. 그 외 연금 제도 변화(현재 미정 →but, 가능성은 높음)

 

      ■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 노령연금 수령 시 소득이 일정기준(국민연금 A값) 이상 시 5년간, 최대 50%까지 감액하는 제도입니다. 최근 보건복지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 용역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IST